
QS500 대학순위는 한국 외국인유학생의 F2비자 F-2-7 점수제 신청시 가산점이 부여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자료입니다.
외국인 한국취업비자 전문 한비자행정사사무소에서는 2025년 영국 QS에서 발표한 500위 중에서 한국소재 대학교 순위를 정리하고 비교분석했습니다.
1. 2025년 QS500 한국소재 대학교 순위
F-2-7비자 신청시 가산점 부여 : 총 12개 대학교
- 31위 서울대학교
- 53위 한국과학기술원 KAIST
- 56위 연세대학교
- 67위 고려대학교
- 98위 포항공과대학교
- 123위 성균관대학교
- 162위 한양대학교
- 280위 울산과학기술원 UNIST
- 328위 경희대학교
- 359위 광주과학기술원 GIST
- 396위 세종대학교
- 489위 중앙대학교
600위 이내 순위
- 511위 이화여자대학교(2024년 489위)
- 516위 경북대학교
- 524위 부산대학교
- 576위 서강대학교
2. 전반적인 순위변동 분석
2025년 QS 세계대학순위에서 한국 대학들은 전반적으로 순위가 상승했습니다. 특히 상위권 대학들의 순위 상승이 두드러졌습니다. 서울대학교는 41위에서 31위로 10계단 상승하며 30위권에 진입했고, 연세대학교는 76위에서 56위로 20계단 상승하며 60위권에 진입했습니다. 고려대학교도 79위에서 67위로 12계단 상승하는 등 주요 대학들의 순위가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3. F2비자 우수대학 가산점 기준 (500위 이내) 변화
F2비자 F-2-7 신청 시 우수대학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 500위 이내 대학의 수는 2024년 14개에서 2025년 12개로 감소했습니다. 서강대학교가 509위에서 576위로 연속하락 하는 모습입니다. 이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F2비자 취득 기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변화입니다.
4. 주목할 만한 변동
- 성균관대학교: 145위에서 123위로 22계단 상승하며 큰 폭의 순위 개선을 보였습니다.
- 세종대학교: 436위에서 396위로 40계단 상승하며 400위권에 진입했습니다.
- 부산대학교: 611-620위 구간에서 524위로 크게 상승했지만, 여전히 500위 밖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575위에서 651-660위 구간으로 하락했습니다.
5. 서울/수도권과 지방 대학 비교
서울과 수도권 소재 대학들이 여전히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500위 이내 13개 대학 중 9개가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지방 대학 중에서는 포항공과대학교(98위), 울산과학기술원(280위), 대구경북과학기술원(326위), 광주과학기술원(359위)만이 500위 이내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여전히 서울 및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 간의 격차가 크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6. 순위 변동이 큰 대학교
- 상승: 연세대학교(20계단↑), 성균관대학교(22계단↑), 세종대학교(40계단↑), 부산대학교(87계단 이상↑)
- 하락: 서강대학교(67계단↓), 한국외국어대학교(75계단 이상↓), 이화여자대학교(13계단↓)
7. 결론 및 시사점
2025년 QS 세계대학순위에서 한국 대학들은 전반적으로 순위가 상승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500위 이내 대학의 수가 감소한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이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F2비자 취득 기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한국 대학들의 국제 경쟁력에 대한 새로운 과제를 제시합니다.
서울 및 수도권 대학들과 지방 대학들 간의 격차가 여전히 크며, 일부 대학의 큰 폭 하락은 우려되는 부분입니다. 특히 여자대학들의 순위 하락은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문제로 보입니다.
향후 한국 대학들이 세계 대학순위에서 더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특히 500위 이내에 더 많은 대학이 포함되기 위해서는 연구 역량 강화, 국제화 정도 개선, 산학협력 확대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또한, 지방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한 정책적 지원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대학 순위의 변화는 국내 대학 교육의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국제 학생 유치, 국제 협력 연구 증진, 그리고 졸업생들의 글로벌 취업 기회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특히 500위 기준은 F2비자와 관련하여 실질적인 혜택의 경계가 되므로, 이를 중심으로 한 대학들의 전략적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F2비자 F-2-7비자 안내
비자신청을 위한 점수표 보기
외국인 유학생이십니까?
한국취업비자 관련 조언 및 비자대행을 희망하시면 아래 제시드린 방법으로 문의주시면 전문 출입국행정사가 친절한 상담을 해드립니다.
- 이메일 : hanvisanet@gmail.com
- 전화 : 010-2653-1345
- 카카오톡 : http://pf.kakao.com/_xlshrxj/chat